
연사 소개
문학
“‘셰익스피어 비극’에 깃든 리더십의 메타포”
변창구 서울대학교 前부총장
서울대학교 영어영문학
Changku Byun
서울대학교 영어영문학과 학사, 서울대 대학원 석사, 털사대학교 대학원 영어영문학 박사 학위 취득. 서울대학교 교육부총장 겸 대학원장 역임.
“문학의 도끼로 내 삶을 깨워라”
문정희 시인/교수
고려대학교 문예창작과
Moon, Chunghee
동국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졸업, 같은 대학교 대학원 졸업,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문학박사 학위 취득. 1969년 <월간문학>신인상에 당선되어 문단에 등단. 현대 문학상, 소월시문학상, 정지용문학상 등 수상
“인생에도 사용설명서가 있다”
김홍신 소설가/교수
건국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Hongshin Kim
건국대에서 문학박사. <현대문학>으로 등단.
<인간시장>으로 한국 최초 밀리언셀러 작가. 한국소설문학상, 통일문화대상 등 수상
제15대, 16대 국회의원. <대발해>,<인간사용설명서>등 133권의 저서
“말랑말랑한 힘”
함민복 시인
Minbok Ham
서울예전 문예창작과 졸업
1988년에 <성선설>등을 『세계의 문학』에 발표하며 등단
김수영 문학상, 윤동주상 등 수상
“멈추면, 비로소 보이는 것들”
혜민 스님
햄프셔대학 (교수), 뉴욕불광사 (부주지)
Reverend Haemin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종교학 학사, 하버드대학교 종교학 석사, 프리스턴 대학교 종교학 박사 학위 취득. <멈추면, 비로소 보이는 것들>, <젊은날의 깨달음>이란 책을 쓴 인기 베스트셀러 작가이자 트위터리언
“Le Meilleur médicament, C’est Vous!””
프레데릭 살드만 작가/의사
파리병원 개인 컨설턴트, 심장전문의
Frederic Saldman
프랑스에서 600,000권 넘게 팔리며 한국(푸른숲 출판사) 등 20개 국가에서 번역될 예정인 를 포함하여 건강에 대한 많은 베스트셀러를 집필
철학
“修身 수신”
팡차오후이 교수
칭화대학교 철학
Zhao Hui Fang
칭화 대학교 인문대학 역사학과 및 사상문화연구소 교수, 중국인민대학교 공자연구원 겸직 연구원, 하버드 대학교 및 서울대학교, 대만의 포광 대학교에서 중국 사상사를 연구 및 강의
“어떻게 철학이 세상을 바꿀 수 있는가?”
김형철 교수
연세대학교 철학
Hyungchul Kim
연세대학교 철학과 졸업, 시카고대학교 대학원 철학과 박사 학위 취득 세계철학자대회 상임위원, 한국학술진흥원이 선정한 ‘국내 베스트7 강의 교수’, ‘연세대학교 명강사’로 선정
“공자와 손자, 역사를 만들고 시대에 답하다”
신정근 교수
성균관대학교 동양철학
Jeongkeun Shin
서울대학교 철학과 졸업, 동 대학원 동양철학 석-박사 학위취득 한국동양철학회와한국철학회 등에서 총무, 편집, 연구 분야의 위원, 이사, 위원장 등의 학회 활동 수행. 동양철학 분야 서적 다수 출간
“개인의 형성”
김기현 교수
서울대학교 철학
Kim Ki Hyeon
서울대학교 철학과 졸업, 동 대학원 석사, 미국 아리조나대학교 박사학위 취득 미국 오클라호마대학교 철학과 교수로 4년간 재직 후 서울시립대학교를 거쳐 현재 서울대학교 철학과 교수로 재직중
“21세기에 과학과 함께 살아가기”
이상욱 교수
한양대학교 과학철학
Sangwook Yi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동 대학원 물리학 전공. 동 대학원 과학사 및 과학철학 협동과정에서 과학철학 전공으로 박사과정 수료. 런던대학교(LSE) 철학 박사학위 취득, 이 박사학위 논문으로 2002년 로버트맥켄지 논문상 수상
“균형의 힘-극단의 시대 어떻게 살 것인가?”
이진우 교수
포스텍 인문사회학부
Jinwoo Lee
연세대학교 독어독문학과 졸업, 독일 아우크스부르크 대학교 철학 석사 및 박사 제8대 계명대학교 총장, 한국니체학회 회장,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위원 등 역임 저서 <중간에 서야 좌우가 보인다>, <니체, 실험적 사유와 극단의 사상>, <프라이버시의 철학>, <지상으로 내려온 철학>, <이성정치와 문화민주주의>외 다수
“치료로서의 인문학”
서동욱 교수/시인
서강대학교 철학과
Dongwook Seo
시인이자 문학평론가이자 철학자 서강대학교 철학과 졸업, 동 대학원 졸업, 벨기에 루뱅 대학 철학과 석,박사 학위 취득. 1995년 『세계의 문학』과 『상상』봄호에 각각 시와 평론 발표하면서 등단
“인도문화 및 철학에서의 인간의 운명”
프랑수아 슈네 교수
소르본느 철학
Francois Chenet
인도철학 및 비교철학 교수, 소르본 대학 철학박사, ENS
사학
“사마천(司馬遷)과 당대(當代) 중국(中國) (원제 : 司馬遷與當代中國)”
쉬에인성 薛引生 會長
중국 사마천학회 협회장
Xue Yin Sheng
“52만 6500자의 메시지”
김영수 교수
중국 소진학회 초빙이사, 중국 사마천학회 정회원
Youngsu Kim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석,박사과정 수료
주요저서 및 번역서 <역사의등불사마천, 피로쓴사기>, <용인>, <사기의경영학>,
<사기의 리더십>, <사마천, 인간의길을묻다>, <완역사기본기(1,2)> 등
“인문학의 세가지 질문”
김상근 교수
연세대학교 신학
Sangkeun Kim
연세대학교 신과대학 졸업, 사우스캐롤라이나주립대학교, 에모리대학교에서 석사,
프리스턴 신학대학원에서 박사학위 취득.
주요 저서 <마키아벨리>, <사람의 마음을 얻는 법>, <인문학으로 창조하라> 등
“세계사 속의 조선사 어떻게 볼 것인가”
한명기 교수
명지대학교 한국사
Myunggi Han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사학과 졸업, 동 대학원 석, 박사 학위 취득
저서 <임진왜란과 한중관계>, <광해군>, <정묘병자호란과 동아시아>, <병자호란1,2>, <16세기>(공저) 등
“교육이 미래다”
김유열 부장
EBS 정책기획부
YuYeol Kim
1988년 서울대학교 동양사학과 졸업, 1992년 EBS PD 입사
주요 기획 <노자와 21세기>, , <세계테마기행>, <한국기행>,
3D영화 <점박이-한반도의 공룡> 등 다수
3D다큐멘터리 <앙코르 와트>, <위대한 바빌론>, <역사극장> 연출
인문학너머 1
“인문학과 과학의 만남이 상처를 치유할 수 있는가?”
데니스 홍 교수
UCLA 기계공학과
Dennis W. Hong
위스콘신대학교 기계공학 전공, 퍼듀대학교 대학원 기계공학 석,박사 학위 취득
‘파퓰러사이언스’가 선정한 젊은 천재 과학자 10인에 선정
세계 최초 시각장애인이 직접 운전하는 자동차 개발
“시대가 원하고 내가 되어야 할 미래의 리더: 당신은 브리꼴레르입니까”
유영만 교수
한양대 교육공학
YeongMahn You
한양대학교 사범대학교 교육공학과 석사, 미국 플로리다 주립대학교 교육공학
박사 학위 취득. 대표 저서 <체인지>, <생각지도 못한 생각지도>, <곡선이 이긴다>, <상상하여 창조하라>, <다르게 생각하면 답이 보인다> 등
“미래예측 디자인 경영”
김원택 교수
홍익대학교 미래디자인 연구소장
Tony Kim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기계공학 전공, 미국 Brown University 석사, 미국 University of Michian, Ann Arbor, 박사 학위 취득 미국 GE항공엔진 사업부장, 삼성디자인연구원장, 제일제당 디자인센터장 등 역임
인문학너머 2
“중심으로 사는 삶”
윤재윤 대표
법무법인 세종 대표
Jaeyun Yun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졸업, 미국 워싱턴주립대학 객원연구원 광운대 건설 법무대학원 겸임교수, 철우언론법상 수상 서울중앙지방법원, 서울고등법원 부장판사, 춘천지방법원장, 언론중재위원회 중재부장, 중앙토지수용위원회 위원장(직대) 등 역임
“인간관계-그 무대의 뒤편”
최양숙 슈퍼바이저
연세대학교 상담학 상담코칭지원센터 전임상담사
Yangsook Choi
서울대학교 학사(역사교육 전공), 서울대학교 대학원 수료(서양사 전공)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석사(목회상담학),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목회상담학) 논문;”나르시시즘적 인격장애의 이해 및 치유-Heinz Kohut의 자기심리학을 중심으로-“ “비동거 가족경험-‘기러기아빠’를 중심으로-“, “부부분거경험의 성별차이를 중심으로 본 기러기가족 현상”, “자녀의 조기유학으로 인한 분거가족에서 나타나는사회심리적 기제”
“금융위기의 역사와 그 교훈”
이동훈 대표
동아쏘시오홀딩스 대표
Donghoon Lee
서울대학교 경영학 학사, 오하이오주립대학교 대학원 경영학 석사 보람증권, SR캐피털 등을 거쳐 삼정KPMG 전문이사 역임
인문학너머 3
“창조경제와 유라시안 인문학”
이민화 초빙교수
KAIST
Minhwa Lee
서울대학교 학사, 카이스트대학원 석사, 카이스트 대학원 전자공학 박사, 한국 디지털 병원 수출사업 협동조합 이사장. 창조경제연구회 이사장
“함께 이롭게 더불어 행복하게”
배양숙 대표
사단법인 서울인문포럼
Yangsook Bae
부산여자상업고등학교 졸업, 서울대학교 미래지도자인문학과정 수료, 서울대학교 최고지도자 인문학 과정 수료 현재 삼성생명 FC 명예사업부장(상무補)